[한국인권신문=백승렬]
한국노동조합총연맹(한국노총)이 대통령 직속 노사정 사회적 대화 기구인 경제사회노동위원회(경사노위) 참여 중단을 선언한 데 이어 ‘윤석열 정권 심판’을 위한 전면 투쟁에 나서겠다고 선언했다.
한국노총은 8일 용산 대통령실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지금 이 순간부터 한국노총은 윤석열 정권의 폭압에 맞선 전면 투쟁을 선포한다. 경사노위 참여 전면 중단은 그 시작에 불과하다”며 이같이 밝혔다.
앞서 한국노총은 경사노위를 통한 노사정 사회적 대화 참여를 전면 중단하기로 결정했다. 경찰이 지난달 31일 포스코 광양제철소 앞 7m 높이의 철제 구조물(망루)에서 고공농성을 벌이던 금속노련 김준영 사무처장을 진압한 것이 계기가 됐다.
김동명 한국노총 위원장은 “노동자 전체를 적대시하며 탄압으로 일관하는 정권에 대한 전면적인 심판 투쟁에 나설 것”이라며 “정권의 폭주를 우리 힘으로 멈추지 않으면 제2, 제3의 광양사태는 계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노동계를 대화 상대로 인정하지 않고 오히려 철저히 배제하는 정부를 향해 대화를 구걸하지 않겠다”면서, “정권 심판 투쟁은 끈질기고 집요하게 전개될 것이다. 반드시 끝장을 보겠다”고 강조했다.
또한 김 위원장은 경사노위 탈퇴가 아닌 불참을 결정한 것에 대해 “(대화가) 전면 중단돼 탈퇴가 큰 의미를 갖는 것이 아니다”라며 “윤석열 정부 내내 대화가 중단될 수도 있고 탈퇴할 수도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단순히 사과하거나 (김 사무처장을) 석방하는 것을 복귀조건으로 삼지 않겠다”며 “근본적으로 윤석열 대통령이 노동자를 대화 파트너로 인정하고 존중하는 것이 전제돼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한국노총이 노사정 대화에 불참하는 것은 7년 5개월 만으로, 과거 박근혜 정부 때인 2016년 1월 저성과자 해고를 가능하게 하고 취업규칙 변경 요건을 완화하는 내용의 양대 지침 추진에 반발해 경사노위 전신인 노사정위에 불참했다. 이어 2017년 10월 문재인 당시 대통령이 노동계 인사들을 청와대로 초청해 만찬 회동을 한 뒤 복귀했다.
<저작권자 ⓒ 한국인권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