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 10명 중 6명 “대기업 취업 선호…중소기업 일 많고 처우 나빠”

한국인권신문 | 입력 : 2023/05/24 [17:43]

▲ 직장선호도 순위 (자료=대한상공회의소)

 

[한국인권신문=백종관 기자] 

 

- 청년 64.3% 대기업 선호, 공공부문 44%, 중소기업은 15.7%에 그쳐

 

청년 구직자가 줄어드는 가운데에도 청년들은 여전히 대기업·공공기관 위주의 일자리를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24일 대한상공회의소가 청년구직자 300명을 대상으로 ‘청년세대 직장 선호도 조사’ 결과(복수응답)에 따르면, 청년들이 선호하는 직장은 대기업 64.3%, 공공부문(공공기관·공무원 등) 44.0%, 중견기업 36.0% 순으로 집계됐다. 중소기업을 선호한다는 응답은 15.7%에 그쳤다.

 

중소기업에 대한 선호가 저조한 이유로는 열악한 처우가 가장 많이 꼽혔다. ‘업무량에 비해 낮은 처우’가 63.3%로 가장 많았고, ‘워라밸 실현 어려움’ 45.3% , ‘불투명한 미래성장’ 43.7% , ‘낮은 고용안정성 우려’ 39.3%, ‘사회적으로 낮은 인식’ 37.0%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어 청년 구직자들이 직장 선택시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는 것으로는 ‘임금 및 복지수준’ 86.7%, 이어 워라밸 등 근로시간이 70.0%로 뒤를 이었고 ‘근무환경(안정성, 업무강도)’ 65.7%, ‘고용안정성’ 57.0% 순이었다.

 

희망하는 신입사원 초봉에 대해서는 ‘3000만~3500만원 미만’ 응답이 39.0%로 가장 높았고, ‘3000만원 미만’ 20.0%. ‘3500만~4000만원 미만’ 19.0%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한편, 응답자의 절반은 청년일자리 문제가 해소되기 위해서 ‘중소기업 근로조건 개선’(46.7%)이 우선돼야 한다고 응답했다. 이어 ‘경기활성화’정책(40.7%), ‘노동시장 개혁’(33.3%) 순으로 조사됐다.

 

특히 중소기업 근로조건 개선을 위해 구체적으로 무엇이 필요한지에 관한 질문에는 응답자 중 78.0%가 ‘임금수준 향상’을 꼽았으며, 이어 ‘워라밸 보장’(62.0%), ‘수평적 조직문화 조성’(42.0%), ‘안전한 일터 조성’(39.0%) 순이었다.

 

유일호 대한상의 고용노동정책팀장은 “수출 감소가 7개월째 이어지고 있고 글로벌 경기둔화, 대중교역 약화 등 수출조건이 개선여지가 보이지 않아 청년고용시장은 한동안 얼어붙을 수 있다”면서, “청년일자리를 늘리기 위해서는 기업의 투자를 촉진하는 것이 관건으로 적극적인 규제와 노동시장 개혁을 통해 기업들이 양질의 일자리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백종관 기자 jkbaek17@naver.com

  • 도배방지 이미지

이동
메인사진
포토뉴스
<단독 인터뷰> 탁계석 비평가회장
이전
1/15
다음